
운송(해상,항공,육상)중에 외부의 우연한 사고의 결과로 인해 화주가 입게 되는 화물의 손실을 대가로 보험자가 피보험자에 대하여 계약 당시 합의한 방법과 범위에 따라 보상하는 보험입니다.
적하보험은 기간보험(Time Policy)이 아니라 구간보험(Voyage Policy)입니다. 따라서 당연히 운송구간 중에 수반되는 보험사고에 한해서만 보상이 가능합니다. 즉 운송이 개시되기 이전이나, 운송이 종료한 시점 이후의 사고에 대해서는 담보가 불가능합니다.
적하보험에서 담보하는 보험사고는 반드시 외래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 것이어야 합니다. 즉 필연적인 화물 자체의 성질로 인한 보험사고나, 보험관계자의 고의에 의한 행위로 발생한 사고는 담보가 불가능합니다.
적하보험은 화물의 물리적 손해만을 담보합니다. 즉 미래의 예상되는 손실이나 시장상실로 인한 목적물 자체의 가치 하락으로 인한 손해는 담보가 불가능합니다.
적하보험은 다양한 운송 구간, 화물의 성질 등으로 인해 보험증권상에 계약자와 합의한 각종 warranties를 삽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R Excluding Breakage라고 증권상에 표기가 되어 있다면, breakage 손해에 대해서는 계약자가 보험자와 합의하여 담보 손해유형에서 제외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보험계약체결 시 부보화물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셔야만, 보험금을 받을 때 불이익을 받지 않습니다.
|
협정보험가액(기평가보험) : 사고발생시의 정확한 보험가액을 평가하는것이 어려우므로 계약당시 보험자와 피보험자간에 협의한 가액으로 최대보상한도액을 설정합니다.
희망이익 : 희망이익이란 화물이 목적지에 무사히 도착함으로써 화주가 얻을 수 있는 경제적 기대이익으로서, 적하보험에서는 이를 감안하여 통상 상업송장 가액의 110%를 보험가입금액으로 설정합니다.
영국해상법(MIA1906)을 근거로 한 협회적하약관(ICC)사용 : 적하보험의 국제성 등에 따라 런던보험자협회에서 제정한 협회적하약관(ICC)를 세계적으로 널리사용하고 있습니다
|
|
|
해상적하보험 계약의 체결당사자는 화물에 대한 권리 및 책임을 가진 자, 즉 피보험 이익을 소유한 자나 매매 계약서상 보험가입의 책임을 가진 자가 체결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무역조건이 FOB, C&F인 경우 매수인인 수입업자가 가입을 하고 CIF인 경우 매도인인 수출업자가 가입을 합니다.
보험계약자가 보험계약을 체결할 때에는 피보험 이익이 직면하게 될 위험의 종류를 세밀히 고지한 후 보험자가 이에 대한 사고 발생 가능성을 측정하여 보험조건 및 보험요율 등을 결정한 다음, 보험계약자는 청약서(INSURANCE APPLICATION)을 작성하여 보험자에게 부보하고 보험자는 이에 대한 적하보험 증권을 발행함으로써 계약이 성립됩니다.
|
|
|
섬유류 및 수모
모피 및 피혁류
곡물, 사료 및 유채류
임농산물
펄프 및 지류
비료
유류, 유지류
화공품 및 의약품
어획물, 생물, 광산물
석탄류, 금속류
기계 및 기기류
유리 및 요업제품
식료품 및 기호품
|
|
|
|
적하보험은 크게 구약관과 신약관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약관별 보상하는 손해는 다음과 같습니다.
|
|
※ 구약관
ICC(A/R)
전위험약관으로서, 약관상의 특정 면책사항을 제외하고는, 운송 중 발생한 이례적이고 우연한 외부의 사고로 인한 손해를 보상합니다.
ICC(W/A)
열거위험약관으로서, 해상 고유의 위험으로 인해 특정 손해율 이상의 손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만 보상합니다. 단, 선박의 침몰/충돌/화재 등 특정 사고 발생시에는 손해율과 상관없이 보상합니다.
ICC(FPA)
열거위험약관으로서, 해상 고유의 위험으로 인해 화물에 전손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만 보상합니다. 단, 선박의 침몰/충돌/화재 등 특정 사고 발생시에는 전손 여부와 상관없이 보상합니다.
|
|
※ 신약관
ICC(A)
전위험약관으로서, 약관상의 특정 면책사항을 제외하고는, 운송 중 발생한 이례적이고 우연한 외부의 사고로 인한 손해를 보상합니다.
ICC(B)
열거위험약관으로서, 아래 ICC(C) 에서 담보하는 원인 외에 아래 원인으로 인한 손해를 보상합니다.
- 지진, 분화 또는 낙뢰
- 파도에 의한 갑판상의 유실
- 선박, 부선, 선창, 운송용구, 콘테이너, 리프트밴 또는 보관소에 해수, 호수 또는 하천수의 유입
- 선박 또는 부선에 선적 또는 양하작업중 해수면으로 낙하하여 멸실되거나 추락하여 발생된 포장당 전손.
ICC(C)
열거위험약관으로서,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화물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보상합니다.
- 화재 또는 폭발
- 선박 또는 부선의 좌초, 교사, 침몰 또는 전복
- 육상운송용구의 전복 또는 탈선
- 선박, 부선 또는 운송용구와 물 이외의 타 물체와의 충돌 또는 접촉
- 투하
- 공동해손희생
|
|
|
적하보험에서 보상하지 않는 대표적인 손해는 다음과 같습니다.
포장의 불완전, 불충분에 기인한 손해
화물 고유의 성질에 기인한 손해
운송 지연에 기인한 손해
화물의 손해에 따른 피보험자의 간접손실
|
|
|
|
적하보험은 구간보험으로서, 운송이 개시되는 시점에 보험이 개시되어 운송이 종료되는 시점에 보험이 종료됩니다. 그러나 운송이 종료되기 전이라 할지라도 다음의 경우에 보험은 종료됩니다.
수하주의 또는 기타 최종창고나 보관장소에 인도된 때
통상의 운송과정이 아닌 보관 또는 할당이나 분배를 위해 피보험자가 선택한 기타 창고나 보관장소에 인도된 때
최종 양하항에서 양하 완료 후 60일이 경과한 때 중에서 어느 것이든 먼저 발생한 때
(우리나라로 수입되는 화물은 30일이 경과한 때)
|
|
|
보험료는 통상 일시납이며, 연간 보험으로 보험에 가입할 경우 분납도 가능합니다.
|
|
|
적하보험 가입 시 무역관련 서류가 필요합니다.
상업송장(인보이스)
포장명세서(Packing list)
신용장(L/C)
영위업종
선하증권(Bill of Lading)
|
|
|